환자의 걸음, 체중, 수면, 혈압, 식사, 스트레스 등 라이프로그를 실제 진료에 활용하면 어떤 변화가 있을까. 서울대 사용자경험 연구실이 3년간 진행한 연구결과 의사-환자 간 커뮤니케이션에 깊이를 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원격의료 등에 대한 논란으로 한국의료현장에서는 라이프로그 활용이 쉽지 않다는 게 한계로 지적됐다.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사용자경험 연구실 이중식 교수와 김유정 박사 과정 연구원은 19일 명지병원에서 개최된 HiPex 2019 컨퍼런스(Hospital Innovation and Patient Experience Conference 2019, 하이펙스)에서 ‘라이프로그로 파악하는 환자들의 삶’을 주제로 강연했다.

라이프로그는 개인의 생활이나 일상을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이나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디지털 공간에 기록하는 모든 일을 의미한다.

의료분야에서는 주로 걸음 수, 수면시간, 혈당, 식사 기록 등 건강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데이터를 한정해 라이프로그로 활용하며, 환자의 병증에 따라 활용하는 라이프로그의 범위나 종류는 달라질 수 있다.

<중략>

 

특히 이중식 교수는 “연구를 진행한 분당서울대병원의 최종 목표는 라이프로그를 활용 진료로 보험수가를 받는 것”이라며 “의사가 라이프로그 활용 진료를 제안하고 환자가 동의하면 EMR에 기록하고 처방을 하는 방식”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병원과 의료진이 환자에게 이야기를 잘해주는 등 라이프로그 진료 활용에 적절히 개입한다면 환자들도 별 저항없이 라이프로그 활용 의료를 받아들이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김 연구원은 이같은 긍정적인 효과에도 불구하고 라이프로그를 활용한 진료를 국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고 지적했다.

김 연구원은 “국내에서 원격의료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는 등 아직 한국에서 라이프로그 활용 진료를 하기에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며 “이 외에도 의료보험과 수가 문제, EMR 분산 개발로 인한 표준화 어려움 등 국내 특수성도 고려해야 할 사항”이라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그렇지만 특정 병증을 중심으로 심층진찰에 통합하거나 건강검진 보완 서비스로 도입하거나 직장 내 건강서비스를 통한 가벼운 보험 인센티브로 활용하는 등의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 소식>

☞ 청년의사 :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69467&fbclid=IwAR0EWp-bP7itHgvOGjrEJ1b6Txp0jeWE4iCrtdo6UMbS6DsyCTEakQ4KZTU